Network

· 웹/network
이제 더 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인터네트워킹에 대해 알아보자. 게이트웨이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인터네트워킹이란?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을 뜻한다.2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려면 적절히 중개할 수 있는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이 필수이다.각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일치하지 않으면 변환해 주는 기능도 필요하다.이러한 기능 덕분에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물리적으로 같은 종류일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더 용이하게 해 준다.게이트웨이는 지원할 수 있는 한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리피터물리 계층 기능을 지원한다.(중계기)신호 증폭만 해준다. (유선 ↔ 무선, 유선 ↔ 유선, 무선 ↔ 무선)  브리지리피터 +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을 지원한다...
· 웹/network
이제 네트워크 전체 흐름을 알아보자. 라우팅 기능데이터는 라우팅 기능을 하는 라우터를 거쳐 목적지 호스트까지 간다.회선 교환회선에 할당하여, 고정크기와 안정적인 전송률로 데이터 전송한다.회선이므로, 모든 데이터가 동일한 경로를 이용한다.하지만,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다른 연결에서 이 대역을 사용할 수 없다.패킷 교환패킷을 기준으로 라우팅 한다. → 패킷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대역을 따로 할당하지 않는다.  → 전송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호스트를 무제한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패킷의 전송 지연은 증가할 수 있다.가상회선 방식(정적, 연결형)모든 패킷의 경로가 일정하다.단일 파이프를 통해 이동한다고 보면 된다.송신 호스트가 보낸 순서가 수신 호스트가 받은..
· 웹/network
각 계층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각 계층에서 쓰이는 용어와 시스템들을 짚고 넘어가자! 프로토콜각 계층은 정해진 방식과 절차로 상대 계층과 통신해야 한다.ex. 1 계층 ↔ 1 계층, 2 계층 ↔ 2계층 상하위 간에는 인터페이스라는 규칙이 존재하고, 하위 계층이 상위계층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비스라고 부른다.프로토콜이 왜 존재하나?정해진 규칙이 없다면, 서로의 데이터 형식조차 해석할 수 없음.서로 다른 시스템에서는 정해진 규칙으로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반드시 필요함.특징네트워크의 기능은 복잡하므로 모듈화를 할 필요성이 있음.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은 각 ISO 7 계층의 각 계층별로 모듈화 되어있음.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사항주소 표현각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구분하려면 주소가 필수적이다.(우편번호 없으면 집에..
· 웹/network
배경백엔드를 개발하다가, 네트워크 지식도 없이 개발하려니 기본 개념조차 헷갈리고,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따라서 네트워크에 대해서 알고 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부대 도서관에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라는 책이 있어서, 네트워크에 대해 가볍게 공부해 보기로 했다.책 내용을 내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면서, 너무 딥한 내용이나 쉬운 내용은 제외하고, 부족한 설명이나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은 추가적으로 찾아서 정리했다.또한 설명 순서도 내가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순서대로 바꿨다.들어가기에 앞서..네트워크에 기초용어부터 짚고 넘어가 보자!기초 용어시스템내부 규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대상노드호스트클라이언트서버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촉 지점- 논리적인..
implement
'Network' 태그의 글 목록